본문 바로가기
Health

감기 증상? 우리 아이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일 수 있어요!

by 인생해방 2025. 4. 9.

감기 증상? 우리 아이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일 수 있어요!

아이에게 콧물이 흐르고, 기침이 시작되었나요? 단순 감기라고 생각했지만, 혹시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일지도 모릅니다.
특히 영유아에게 RSV는 위험할 수 있는 호흡기 감염 질환이기 때문에 부모님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RSV란 무엇인가요?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는 감기처럼 시작되지만, 영유아에게는 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급성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생후 2년 안에 한 번은 감염되며, 재감염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 전형적인 증상: 콧물, 기침, 재채기, 발열, 식욕 감소, 쌕쌕거림
  • 신생아의 경우: 전형적인 증상이 아니라 쳐짐, 보챔, 수유량 감소, 무호흡 등이 먼저 나타날 수 있습니다.

 

 

RSV에 취약한 고위험군은 누구인가요?

 

일반적으로는 잘 회복되지만, 특정 고위험군 아이들에겐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특히 주의해주세요.

 

 

 

 

  • 미숙아 (재태기간 32주 미만 출생)
  • 폐, 심장 질환이 있는 만 2세 미만 영아
  • 형제자매가 많은 아이들 (형제 간 전파 위험 ↑)
  • 기관지폐이형성증 병력이 있는 경우

 

 

어떤 증상이 보이면 병원에 가야 하나요?

 

초기에는 단순 감기처럼 보이지만, 다음과 같은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콧구멍이 숨 쉴 때마다 벌렁거림
  • 입술이나 손톱이 파랗게 변함(청색증)
  • 가슴이 쑥 들어가며 숨 쉬는 모습
  • 짧고 얕은 호흡, 또는 무호흡

증상이 심각할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수액 공급, 산소치료, 호흡 보조 등을 받게 됩니다.

 

 

 

 

RSV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RSV는 감염자의 침방울(비말), 손, 물건을 통한 접촉으로 전파됩니다. 특히 어린 형제자매나 유치원 등 집단 환경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아요.

  • 외출 후 반드시 손씻기 (흐르는 물 + 비누로 30초)
  • 증상 있는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 장난감, 수저, 컵 등 자주 닿는 물건 소독
  • 기침이나 재채기 시 코·입 가리기

 

고위험군 예방접종도 가능해요

‘팔리비주맙(Palivizumab)’이라는 RSV 예방 항체 주사가 고위험군 영유아에게 제공됩니다.
보통 10월~3월 유행 기간 동안, 한 달 간격으로 5회 투여하게 되며, 관련 대상자라면 소아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적용 대상 예시:

  • 생후 6개월 이하 & 재태 32주 미만 출생
  • RSV 유행 시기에 태어나고 형제자매가 있는 재태 36주 미만 출생아
  • 만 2세 미만으로 폐질환/심질환 병력 있는 아이

 

 

부모님이 꼭 기억하셔야 할 점

RSV 감염은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만큼 아이의 상태를 잘 살펴야 합니다.
특히 수분 섭취량과 소변량(기저귀 수), 호흡 상태를 매일 체크해주세요.
탈수가 의심되거나, 숨쉬기 힘들어하는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RSV는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도 많지만, 영유아 특히 고위험군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예방 수칙을 실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의 상담을 통해 예방접종도 고려해 보세요.
우리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은 작은 변화와 꾸준한 관심입니다.

반응형

댓글